바다에서 시작된 위기, 밥상까지 위협하다
명태와 오징어. 무차별적인 어획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바다에서 사라지고 있는 대표 어종이다. 하지만 바다의 변화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 그 이상. 단순히 일부의 종이 줄어든 것에 그치지 않는다.
어획량 급감, 53년 만에 최저 수준 기록
1980년대와 비교해 우리나라 인근에서 잡히는 생선의 양이 60% 수준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는 53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하며, 사실상 역대 최악의 상황으로 치달았다.
양식업의 한계와 수입 의존도의 딜레마
하지만 대안은 불투명하다. 급속도로 발전한 양식업 또한 극한 기후에 따른 집단 폐사 등으로 성장 한계에 직면했다. 단순히 수입 의존도를 높여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도 아니다. 어획량 감소는 전 세계에서 나타나는 공통 추세. 해양 생태계 보전과 수산업 보호에 대한 관심이 요구되는 이유다.
수온 상승, 우리 밥상을 위협하는 주범
기온 상승으로 인해 한국인이 소비하는 친숙한 어종들이 사라진 것 또한 큰 영향을 줬다.
고등어 가격 폭등과 해양 생태계 변화
특히 대중적으로 소비했던 고등어가 최근 가격 이상으로 골치를 겪고 있다. 특히 생태계 변화로 인기가 많은 ‘큰 고등어’가 잡히지 않으며, 가격이 5년 새 두 배가량 상승했다. 이외에도 전복, 김 등 고수온의 영향으로 가격이 오르는 상품이 한두 개가 아니다.
미래를 위한 경고: 2100년의 바다
심지어 우리나라 연근해 수온은 더 빠른 속도로 오를 전망이다. 국립수산과학원은 2100년 기준 우리나라 해역 3km 내 표층 수온은 지금보다 평균 4도가량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그중에서도 동해는 최대 5도까지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해양 생태계가 완전히 뒤바뀐다는 것.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노력
물론 기온 상승으로 인한 해양 생태계 붕괴를 즉각적으로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없다. 하지만 남획을 방지해, 어족 자원을 지키는 것은 국제적인 합의로 가능한 일. 이에 지속가능한 수산자원 확보 및 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해 국제적인 가이드라인 준수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바다의 변화, 밥상 위의 위협: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노력
어획량 감소와 해양 생태계 변화는 우리 밥상에 큰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지속 가능한 수산자원 확보와 국제적인 노력을 통해 이 위기를 극복해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어획량 감소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요?
A.무차별적인 남획, 기후 변화로 인한 수온 상승, 어장 환경 악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어획량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Q.양식업은 대안이 될 수 없나요?
A.양식업 또한 고수온 및 적조 발생 등 기후 변화의 영향을 받아 대량 폐사 피해를 입는 등 한계에 직면해 있습니다.
Q.개인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요?
A.지속 가능한 수산물 소비를 지향하고, 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한 정책에 관심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정재 의원 '호남 불 안 나나' 발언 논란: 지역 갈등 vs. 산불 지원 호소? (0) | 2025.09.27 |
---|---|
양주 찜질방 가스 폭발 사고: 28명 중경상, 아찔했던 그날의 기록 (0) | 2025.09.27 |
추석 앞둔 우체국, 멈춰버린 우편·예금·보험 서비스: 혼란 속 해결 방안은? (0) | 2025.09.27 |
스타벅스, 위기의 그림자: 900명 해고 발표, 무엇이 문제인가? (0) | 2025.09.27 |
78년 역사, '무소불위' 검찰, 개혁의 칼날에 무너지다: 대한민국 검찰청 폐지 그 이후 (1) | 2025.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