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62세 남성을 3억 원의 덫에 빠뜨린 보이스피싱 수법: '카드 배송원'의 달콤한 유혹

뉴지금 2025. 9. 21. 22:28
반응형

서론: 덫에 걸린 62세 남성의 비극

전화 한 통으로 금전뿐 아니라 삶까지 빼앗기는 보이스피싱의 끔찍한 현실을 보여주는 사례가 있습니다. 62세 A씨는 신용카드 배송원을 사칭한 B씨의 전화 한 통으로 시작된 보이스피싱에 걸려, 결국 3억 원이라는 거액을 잃었습니다. 이 기사는 금융감독원과 함께 고도화·다양화되고 있는 보이스피싱 수법을 파헤쳐, 우리 스스로를 지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1단계: '명의도용'을 가장한 교묘한 접근

A씨는 신용카드 배송원 B씨로부터 카드 발급 신청 여부를 묻는 전화를 받았습니다. A씨는 카드 발급을 신청한 적이 없었지만, B씨는 대리 수령인이 있다고 말하며 불안감을 조성했습니다. B씨는 사고인 것 같으니 카드사 고객센터로 전화하라고 유도하며, 보이스피싱의 첫 단추를 끼웠습니다.

 

 

 

 

2단계: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하는 치밀함

A씨는 B씨가 알려준 번호로 전화를 걸었고, 상담원 C씨는 명의도용을 언급하며 보안 점검을 핑계로 원격 조정 애플리케이션 설치를 유도했습니다.  C씨는 전화를 끊지 않은 채 상담을 이어가면서 원격으로 휴대폰에 악성앱을 설치했습니다. 이를 통해 통화, 메시지 교환내역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수·발신 번호도 조작할 수 있었습니다. A씨의 모든 행위가 C씨 통제권으로 들어왔습니다.

 

 

 

 

3단계: 금감원 사칭, 더욱 깊어지는 덫

C씨는 금감원 사칭을 통해 A씨를 더욱 압박했습니다.  A씨에게 금감원 번호로 연락하도록 유도했고, 악성 앱에 감염된 A씨는 진짜 금감원 번호로 전화했지만, 보이스피싱범 D씨에게 연결되었습니다. D씨는 금감원 직원을 사칭하며 A씨 명의의 추가 계좌가 범죄에 연루되었다고 겁을 줬습니다.  이후 검찰청 번호로 전화하도록 유도하며, 다음 단계로 나아갔습니다.

 

 

 

 

4단계: 검사 사칭, 전 재산을 노리는 최후의 수단

남부지방검찰청 검사를 사칭한 E씨가 등장하여 A씨를 압박했습니다.  E씨는 A씨를 유력 피의자로 지목하며 구속 수사를 언급하며, 모든 자산을 검수해야 한다고 속였습니다. E씨는 지정한 4개 법원 계좌로 A씨의 전 재산을 입금하도록 지시하며, 자금세탁을 핑계로 돈을 갈취하려 했습니다. 결국 A씨는 사흘에 걸쳐 총 3억 원을 송금하는 끔찍한 결과를 맞이했습니다.

 

 

 

 

5단계: 피해를 막기 위한 예방 수칙

금융감독원은 앱 설치를 요구하는 전화는 100% 보이스피싱이라고 강조합니다카드사나 공공기관은 앱 설치를 요구하지 않으며, 자금 이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의심스러운 전화를 받으면 즉시 끊고, 금융결제원의 ‘내 카드 한눈에’ 서비스를 이용하여 카드 발급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이 서비스는 국내에서 발급되는 모든 카드를 한 번에 조회할 수 있어, 피해를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핵심 요약: 보이스피싱, 그 덫에서 벗어나는 방법

보이스피싱은 끊임없이 진화하며, 교묘한 수법으로 우리의 돈과 삶을 위협합니다. 카드 배송원을 사칭한 전화, 명의 도용, 악성 앱 설치 유도, 금감원 및 검찰 사칭 등, 단계별로 치밀하게 설계된 보이스피싱의 실체를 파악하고, 예방 수칙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심스러운 낌새를 느꼈다면 즉시 전화를 끊고, 금융 기관에 확인하는 것이 피해를 막는 최선의 방법입니다.

 

 

 

 

보이스피싱 관련 자주 묻는 질문

Q.보이스피싱범의 전화를 받으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일단 침착하게 대응하고, 의심스러운 부분이 있다면 즉시 전화를 끊고 해당 기관에 직접 전화하여 사실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개인 정보를 절대 알려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Q.악성 앱이 설치된 경우,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A.악성 앱이 설치되었다면, 즉시 스마트폰을 초기화하고, 금융 정보 변경 시 해당 금융기관에 신고해야 합니다.  경찰청 사이버수사대에 신고하여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Q.보이스피싱 피해를 당했을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A.피해 사실을 인지한 즉시 경찰에 신고하고, 금융기관에 피해 사실을 알린 후, 피해 금액에 대한 보상 절차를 진행해야 합니다.  피해 증거를 확보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