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 고민, 서울대 엄마에게 답을 구하다
“학원 어디 보내야 하나요?” 삼남매를 모두 서울대에 보낸 양소영 변호사에게 가장 많이 들어오는 질문이다. 하지만 그의 답은 예상과 달랐다. “유명한 학원보다는 동네 학원이 더 나을 수 있어요.” 25년간 가사전문 변호사로 일하며 이혼·상속 등 집안 다툼을 다뤄온 양소영 법무법인 숭인 대표 변호사가 22일 에세이 ‘오늘도 불안한 엄마들에게’를 출간한다. 첫째와 둘째 딸을 서울대 경영학부, 셋째 아들을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에 보낸 그의 육아 철학이 300페이지에 담겼다.
흔들리지 않는 부모, 아이의 든든한 버팀목
양소영 변호사는 “삼남매를 키운 첫 원칙은 내 안의 불안 잠재우기였다”고 말한다. 수많은 가정 해체를 목격한 변호사로서 부모를 아이가 기댈 수 있는 ‘단단한 어항’에 비유했다. 부모가 흔들리지 않아야 아이들도 안정을 찾고 스스로 길을 찾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유명 학원 NO! 아이에게 맞는 '맞춤형' 학습
유명한 학원이 아닌 동네 학원을 선택한 이유도 분명했다. 양 변호사는 “엄마들 사이에서 신뢰할 수 있는 곳이라면 동네 학원도 좋다고 생각했다”라며 실제로 자신이 살던 아파트 상가에 있던 수학 학원을 보냈다고 말했다. 그는 “속도가 중요한 건 아니라 기초를 쌓아가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라며 6-7명의 소규모 수업에서 아이마다 개별 관심을 받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특히 ‘기초 부족’을 발견했을 때는 과감히 다시 돌아갔다. 중학교 과정 들어가기 전에 선행학습을 하기 보다는 초등학교 5-6학년으로 다시 돌아가서 개념을 모르는 부분을 다시 점검해서 문제집을 풀고 중학교 과정으로 넘어갔다.
사교육은 최소화, 아이의 강점에 집중하라
양 변호사는 “전과목 사교육은 반대한다”며 국어(책 읽기)·수학·영어만 기본으로 두고, 나머지 과목은 스스로 공부하도록 했다. “요즘 교재들이 잘 돼 있어 탐구 과목은 문제집만으로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무엇보다 아이의 장점에 집중했다. 그는 “아이들마다 장점과 단점이 있는데, 장점을 바라보고 그 장점을 더 키워주는 식으로 관심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수학을 못하는 아이에게 수학을 강요하면 공부하기 싫어진다”고 강조했다.
아이의 '집중력'을 키워주는 육아법
양 변호사의 아들은 어릴 때 딱지에 빠지면 모든 딱지를 사 모았고, 공룡에 빠지면 공룡 책만 봤다. 레고에 빠졌을 때는 비싼 레고를 하나씩 사달라며 조르기도 했다. 양 변호사는 “하나에 빠지는 것을 굉장히 장려하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 그런 집중력이 나중에 공부로 이어지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그의 막내아들은 지금도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가 있으면 끝까지 파고든다. 서점에 가면 대학생들이 보는 영어책까지 사서 읽는다.
과도한 개입은 NO! 아이를 믿고 기다려주세요
양 변호사는 부모의 과도한 개입도 경계했다. 그는 “아이들은 기본적으로 부모를 속인다고 생각해야 한다”라며 “엄마가 개입하는 부분은 숙제 검사가 아니라 체크해서 칭찬해주는 거다. 계획을 세울 때도 ‘이 중에 네가 몇 퍼센트만 하면 엄마는 굉장히 좋을 거다’라고 해서 격려하는 방향으로 가면 좋다”라고 말했다.
부모도 함께 성장하는 육아
그는 부모도 함께 성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 변호사는 “아이를 정말 공부시키고 싶으면 그 시간에 엄마는 책을 읽는다든가, 엄마가 뭔가 발전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부모가 자기 역할을 충실히 하고 열심히 살면, 그게 제일 좋은 사교육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양 변호사는 2006년 아이 셋을 낳고 워킹맘으로서 끊임없는 불안감에 휩싸여 있을 때 가수 이적의 어머니인 박혜란 교수의 책 ‘믿는 만큼 자라는 아이들’을 읽고 “엄청난 위안과 용기를 얻었다”고 감사 인사를 전하기도 했다.
핵심만 콕! 서울대 엄마의 육아 비법
양소영 변호사는 자녀를 서울대에 보낸 비결로 '부모의 안정', '아이의 강점 발견 및 집중', '과도한 개입 자제', '부모의 성장'을 꼽았습니다. 아이를 믿고 기다려주며, 함께 성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자녀 교육,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Q.아이 학원, 어디가 좋을까요?
A.유명 학원보다는 아이에게 맞는 동네 학원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의 기초를 다지는 데 집중하고, 소규모 수업을 통해 개별적인 관심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Q.사교육, 꼭 해야 할까요?
A.전 과목 사교육보다는 국어, 수학, 영어 등 기본 과목에 집중하고, 아이가 스스로 공부하는 습관을 길러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의 장점을 발견하고, 그 분야에 집중할 수 있도록 격려해 주세요.
Q.부모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A.아이를 믿고 기다려주세요. 잔소리보다는 칭찬과 격려를 통해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주세요. 부모가 끊임없이 배우고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아이에게 가장 좋은 교육입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산 분리막 무관세 검토, 국내 배터리 산업 '지각변동' 오나? (0) | 2025.09.14 |
---|---|
법원, '내란 재판부' 설치에 제동? 7시간 반 회의가 던진 메시지 (0) | 2025.09.14 |
더불어민주당 '투톱 갈등' 봉합 수순: 정청래-김병기, 갈등의 불씨는 남았나 (0) | 2025.09.14 |
IT 기업이 선택한 영월의 한옥 호텔: 1박 120만 원의 가치와 K-아키텍처의 미래 (1) | 2025.09.13 |
정동원 무면허 운전, 협박범은 누구? 충격적인 전말과 숨겨진 이야기 (0) | 2025.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