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대기업의 딜레마: 고령화 시대, 청년 일자리는 어디로?

뉴지금 2025. 9. 8. 10:13
반응형

20년 만에 역전된 대기업의 풍경

지난 20년간 대기업 정규직에 종사하는 고령자는 500% 가까이 증가했지만, 청년층은 반대로 약 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의 보고서에 따르면, 대기업 정규직 부문의 고령자는 2004년 4만2000명에서 지난해 24만7000명으로 492.6% 증가했다. 같은 기간 대기업 정규직 청년은 19만6000명에서 19만3000명으로 1.8% 줄었다. 이는 학업과 군 복무를 마친 23~27세 청년과 60세 정년 의무화의 직접 수혜 대상인 55~59세 고령자를 기준으로 한 결과이다. 대기업 정규직 내 고령자 비중도 청년을 역전했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고령화의 그늘: 대기업 정규직의 변화

대기업 정규직 내 고령자 비중은 2004년 2.9%에서 지난해 9.3%로 6.4% 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청년 비중은 13.7%에서 7.3%로 6.4% 포인트 감소했다. 특히 노조가 있는 대기업 정규직의 경우 고령자가 20년간 777%나 늘어나고 고령자 비중은 8% 포인트 증가하는 등 고령화 추세가 더욱 두드러졌다. 이는 2013년 정년 60세 법제화의 영향으로 대기업 정규직 부문에서 세대 간 일자리 경쟁이 심화되었음을 시사한다.

 

 

 

 

근속 연수 증가와 신규 채용 감소의 상관관계

대기업 정규직의 평균 근속연수는 2004년 10.40년에서 지난해 12.14년으로 길어졌다. 반면, 신규 채용률(근속 1년 미만자 비중)은 9.6%에서 6.5%로 하락했다. 보고서는 대기업 정규직의 높은 진입 장벽에도 불구하고 2010년 이후 대기업 정규직 고용이 중소기업·비정규직 부문에 비해 훨씬 빠르게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현상은 저출생·고령화 심화와 2013년 정년 60세 법제화의 영향이 일부 반영된 결과로 추정된다.

 

 

 

 

노동 시장 이중 구조의 심화

대기업 정규직과 중소기업·비정규직 간 근로 조건 격차는 20년간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지난해 기준 중소기업·비정규직의 월 임금 총액은 288만원으로 대기업(497만원)의 57.9% 수준에 불과했다. 사회보험 가입률과 복지 수혜율도 대기업이 100%에 육박하는 반면 중소기업·비정규직은 65~76%에 그쳤다. 이러한 격차는 노동 시장의 이중 구조를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해결 과제: 노동 시장의 유연성과 사회 안전망 강화

경총은 노동 시장 경직성이 높은 대기업 정규직은 유연성을 높이고, 중소기업·비정규직은 사회 안전망을 대폭 강화하는 맞춤형 정책을 통해 노동 시장 이중 구조를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고령화 시대에 지속 가능한 노동 시장을 구축하기 위한 핵심 과제이다. 유연성 확보를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사회 안전망 확충을 통해 모든 노동자의 기본적인 권리를 보장하는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하다.

 

 

 

 

노동 시장의 미래를 위한 제언

대기업의 고령화는 심화되고 청년 일자리는 감소하는 현실에서, 노동 시장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사회 안전망을 강화하는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격차를 줄이고, 모든 노동자가 공정한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노동 시장의 건강한 균형을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주 묻는 질문

Q.대기업의 고령화가 심화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정년 60세 법제화와 저출생·고령화 심화의 영향으로 대기업 내 고령자 비중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높은 근속 연수와 신규 채용 감소도 고령화를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Q.노동 시장 이중 구조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요?

A.대기업 정규직의 유연성을 높이고, 중소기업·비정규직의 사회 안전망을 강화하는 맞춤형 정책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노동 시장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모든 노동자에게 공정한 기회를 제공해야 합니다.

 

Q.청년 일자리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방향은 무엇인가요?

A.대기업의 고용 구조 변화에 맞춰 청년층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원을 확대해야 합니다. 또한, 노동 시장의 유연성을 확보하여 청년들이 다양한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