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17억 아파트, 5억 높여도 '줄 서는' 현실? 서울 아파트 시장, 다시 뜨거워지나

뉴지금 2025. 10. 9. 19:21
반응형

들썩이는 서울 아파트 시장, 그 중심에 마포구가 있다

최근 서울 아파트 시장이 호가를 중심으로 다시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특히 마포구 염리동의 마포자이더센트리지 전용 59㎡의 경우, 시세가 17억원 선임에도 불구하고 호가가 22억원까지 치솟는 등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규제 전 막차 심리와 집값 상승 기대감이 맞물린 결과로 분석됩니다. 한 중개업소 관계자는 “높은 금액으로 거래가 성사된 경우 금방 소문이 나면서 다른 집주인들의 부러움을 사고 있다”고 전하며, 급매물이 거의 사라지고 매도자들이 가격 상승을 기대하는 분위기를 설명했습니다.

 

 

 

 

마포, 신고가 행렬의 중심에 서다

마포자이더센트리지는 올해 들어 마포 권역에서 가장 가파른 상승세를 보인 단지 중 하나입니다. 지난 5월 15억원 중반대였던 실거래가가 9월에는 18억원대 중반까지 오르며 단기간에 3억원 이상 상승했습니다. 이러한 상승세는 마포구 내 주요 단지의 신고가 거래로 이어졌습니다. 마포자이 전용 84㎡는 24억 9000만원에, 마포프레스티지자이 전용 84㎡는 28억 20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경신했습니다. 현석동 래미안웰스트림 전용 114㎡ 역시 28억원에 거래되며 신고가 행렬에 합류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정부의 공급 대책 발표 이후 더욱 두드러져, 이달 2일까지 서울 아파트 신고가 거래 308건 중 마포구가 38건으로 약 12%를 차지했습니다.

 

 

 

 

매도자들의 기대감, '제2 성동구'를 꿈꾸다

한강 벨트 중심지로 부상한 마포는 ‘제2 성동구’로 거론되며 매도자들의 기대감을 더욱 키우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대감은 높은 호가와 신고가 행렬을 이끌고 있으며, 이는 곧 시장의 과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낳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에도 불구하고 매물 감소는 시장 회복을 단정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9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5100건으로 전월 대비 증가했지만, 매물 부족으로 인해 거래량 증가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됩니다.

 

 

 

 

매물 감소, 시장 회복의 걸림돌

서울 아파트 매매 매물은 1년 전보다 11.9% 감소한 7만 3889건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공급 부족 상황에서 수요자들의 불안 심리를 자극하며, 아파트 가격 상승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입주 물량이 부족한 상황에서 공급이 충분히 뒷받침되지 않다 보니 수요자들의 불안 심리를 자극하고 있다”고 분석하며, 서울 아파트 가격은 당분간 상승세를 이어가겠지만, 거래량 부족으로 인해 본격적인 시장 회복은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전문가들의 냉철한 분석

전문가들은 현재의 시장 상황을 긍정적으로만 바라보지 않습니다. 신고가 행렬과 높은 호가에도 불구하고, 매물 감소는 시장의 회복을 제한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공급 부족 문제 해결 없이는, 일시적인 가격 상승은 있을 수 있으나, 시장의 안정적인 회복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입니다. 따라서, 시장의 정확한 흐름을 파악하고, 섣부른 투자는 지양해야 합니다.

 

 

 

 

핵심만 짚어보는 서울 아파트 시장 동향

서울 아파트 시장은 호가 상승과 신고가 행렬으로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매물 감소로 인해 시장 회복 여부는 불투명합니다. 마포구를 중심으로 한 높은 기대감과 규제 완화 기대 심리가 맞물려 가격 상승을 이끌고 있지만, 공급 부족 문제는 시장 불안을 야기하며, 전문가들은 신중한 접근을 권고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서울 아파트 시장, 과열 양상이 맞나요?

A.네, 높은 호가와 신고가 거래가 증가하면서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마포구의 상승세가 두드러집니다.

 

Q.가격 상승은 언제까지 지속될까요?

A.전문가들은 공급 부족 문제 해결 없이는 가격 상승이 지속될 수 있으나, 시장의 안정적인 회복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합니다.

 

Q.지금 집을 사는 것이 좋을까요?

A.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으므로, 전문가의 조언을 참고하고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