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보 보안 3

국가 전산 마비, 국민 불편 초래…정부 서비스 정상화, 2주 안에 가능할까?

정부 전산 시스템 마비, 그 시작지난 26일,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이번 화재로 인해 중앙부처의 홈페이지 관리 시스템과 공무원들의 행정 업무망인 온나라시스템 등 핵심 정보 시스템이 불에 타 기능을 상실했습니다. 이로 인해 국민들은 정부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큰 불편을 겪게 되었고, 정상적인 서비스 재개 시점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화재 피해 규모와 복구 계획화재는 국정자원 5층 7-1 전산실에서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96개 시스템이 전소되었습니다. 정부는 대구센터 내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서비스로 이전을 준비하며, 전소된 시스템의 재가동에 약 2주가 소..

이슈 2025.09.29

롯데카드 해킹, 297만 명 정보 유출: 당신의 정보는 안전한가요?

롯데카드, 대규모 해킹 사고 발생: 297만 명 정보 유출롯데카드에서 발생한 대규모 해킹 사고로 인해 297만 명에 달하는 고객 정보가 유출되는 심각한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이는 롯데카드 전체 회원의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규모로, 고객들에게 큰 불안감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이번 사고는 온라인 결제 과정에서 생성, 수집된 데이터가 해킹되어 발생했으며, 개인 정보 유출로 인한 2차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CVC 코드까지 유출된 28만 명: 부정 사용 가능성 및 피해 보상특히, 28만 명의 고객 정보는 카드번호, 유효기간과 함께 보안코드(CVC)까지 유출되어 부정 사용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롯데카드 측은 이에 대해 피해액 전액을 보상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고객들의 불안감은 쉽게 가시..

이슈 2025.09.18

2300만 명 개인정보 유출, SKT에 역대 최대 과징금 1348억 원…무너진 보안, 무엇이 문제였나?

2300만 명의 개인정보를 위협한 SKT 해킹 사건SK텔레콤(SKT)이 역대 최악의 해킹 사고로 인해 2300만 명 이상의 개인 정보를 유출, 개인정보보호위원회로부터 1348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습니다. 이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출범한 이후 부과한 과징금 중 최대 규모입니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정보 유출을 넘어, 우리 사회의 디지털 안전망에 심각한 경고를 던지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SKT는 LTE·5G 서비스 이용자들의 휴대전화 번호, 가입자식별번호(IMSI), 유심 인증키 등 민감한 개인정보 25종을 유출, 엄청난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해커의 침투, 2년간 이어진 은밀한 공격해커는 2021년 8월 SKT 내부망에 처음 침투하여 악성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공격을 시작했습니다. 2022년..

이슈 2025.08.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