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수백억 원의 카드 포인트, 왜 사라질까요?
신용카드 사용은 이제 우리 생활의 일부가 되었죠. 사용하면 쌓이는 카드 포인트, 잘 활용하고 계신가요? 안타깝게도, 매년 엄청난 규모의 포인트가 사용되지 못하고 소멸되고 있습니다. 12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양수 의원의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에만 주요 8개 카드사에서 365억 원의 포인트가 사라졌습니다. 이 금액은 2021년부터 2024년까지 4년간 소멸된 3,160억 원의 일부입니다. 열심히 모은 포인트가 제대로 쓰이지 못하고 사라진다는 것은, 소비자 입장에서 매우 안타까운 일입니다.
카드사별 포인트 소멸 현황: 당신의 포인트는 안전할까요?
어떤 카드사에서 포인트 소멸이 많이 발생했을까요? 현대카드가 102억 원으로 가장 큰 소멸액을 기록했고, 하나카드 70억 원, KB국민카드 58억 원, 삼성카드 47억 원, 우리카드 40억 원, 신한카드 29억 원, 롯데카드 18억 원, BC카드 50만 원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현대·롯데·BC카드의 경우, 제휴 포인트 내역을 제공하지 않아 실제 소멸 규모는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신이 사용하는 카드의 포인트 소멸 현황을 꼼꼼히 확인하고, 소멸 전에 포인트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포인트 적립은 늘었지만… 소멸은 여전한 이유
카드 포인트 적립 규모는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1년 3조 904억 원에서 2024년 5조 9,437억 원으로 3년 새 92%나 증가했죠. 올해 상반기 적립액만 3조 753억 원에 달해 연말에는 6조 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포인트 소멸 비율은 여전히 1~6%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하나카드의 경우, 올해 상반기 기준 소멸 비율이 6.2%로 가장 높았습니다. 포인트 적립 혜택은 늘었지만,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면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포인트, 현금처럼 활용하는 방법
카드 포인트는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우선, 카드사 홈페이지나 앱을 통해 포인트를 확인하고, 사용 가능한 가맹점을 찾아보세요. 쇼핑, 외식, 문화생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카드 포인트 통합조회 및 계좌 입금 서비스'를 이용하면, 포인트를 현금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금융위원회와 여신금융협회는 이 서비스를 통해 포인트 미사용을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 홍보가 부족한 실정입니다. 디지털 취약 계층을 위한 지원도 더욱 강화되어야 합니다.
소비자 권익 보호를 위한 노력, 무엇이 필요할까요?
카드 포인트는 소비자의 권익과 직결되는 문제입니다. 이양수 의원은 “카드사 포인트 적립 규모가 매년 늘어나고 있음에도 여전히 많은 포인트가 소멸해 소비자 권익이 침해받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소비자들이 적립 혜택을 충분히 누릴 수 있도록, 제도 개선과 함께 카드사의 적극적인 홍보, 그리고 디지털 취약 계층에 대한 지원이 필요합니다. 또한, 포인트 사용처를 더욱 다양화하고, 소비자들이 쉽게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여야 합니다.
포인트 소멸, 더 이상 방치할 수 없습니다!
수백억 원에 달하는 카드 포인트 소멸은, 소비자에게 큰 손실을 의미합니다. 지금 바로 당신의 카드 포인트를 확인하고, 소멸되기 전에 현명하게 사용하세요! 카드사, 정부, 그리고 소비자의 노력이 함께 이루어질 때, 카드 포인트는 진정한 혜택으로 다가올 것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카드 포인트는 언제 소멸되나요?
A.카드 포인트는 적립 시점으로부터 5년 이내에 소멸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카드사별로 소멸 기준이 다를 수 있으므로, 반드시 해당 카드사의 약관을 확인하세요.
Q.카드 포인트, 어떻게 현금으로 바꿀 수 있나요?
A.카드사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포인트 현금화'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카드 포인트 통합조회 및 계좌 입금 서비스'를 통해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Q.포인트 사용처는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
A.각 카드사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포인트 사용 가능 가맹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쇼핑, 외식, 문화생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주주 기준 논란에 흔들리는 코스피: 대통령실 발표와 시장의 반응 (1) | 2025.08.12 |
---|---|
특검 수사 속보: 서희건설, 김건희 여사 '나토 목걸이' 제공 자백…진실은? (1) | 2025.08.12 |
포스코이앤씨, 감전사고 2번, 면허 취소 위기? 건설 현장 안전, 어디로? (4) | 2025.08.12 |
청주 흥덕사지, 금속활자 비밀의 문을 열다: 역사적 발견의 기대감! (5) | 2025.08.12 |
광복절 사면, 최강욱의 심경: '더 성찰하고 착하게 살겠다' 그러나 '윤석열은 용서 못 해' (2) | 2025.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