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상생페이백, 국민 5명 중 1명 신청! 하지만 어르신들은…

뉴지금 2025. 10. 10. 20:29
반응형

폭발적인 인기, 상생페이백, 그 숨겨진 그림자

지난달 시작된 ‘상생페이백’ 사업은 예상대로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국민 5명 중 1명이 신청했다는 놀라운 수치가 이를 증명합니다하지만, 이 성공적인 사업 뒤에는 숨겨진 그림자가 존재합니다특히, 디지털 소외 계층인 60대 이상 어르신들의 참여율이 저조하다는 사실은 간과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숫자로 보는 상생페이백: 압도적인 신청, 그리고 아쉬움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실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기준 상생페이백 신청자는 939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접수 시작 16일 만에 이뤄낸 성과입니다. 상생페이백은 9~11월 카드 소비액이 작년보다 증가한 경우, 그 증가분의 20%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주는 사업입니다소비 진작과 소상공인 지원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시작되었죠. 그러나 전체 신청자의 연령대별 분포를 살펴보면, 30대와 40대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60대 이상은 11.3%에 그치며 아쉬움을 남겼습니다.

 

 

 

 

세대별 신청률 비교: 디지털 격차의 현실

전체 인구 대비 신청률을 비교해보면, 60대 이상은 더욱 낮은 수치를 보입니다. 30대(36.7%), 40대(30.9%), 50대(20.9%)에 비해 60대(10.8%), 70대(4.1%), 80대 이상(1.1%)의 신청률은 현저히 낮습니다. 이러한 수치는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이 겪는 어려움을 여실히 보여줍니다.

 

 

 

 

넘어야 할 장벽: 복잡한 신청 절차와 디지털 환경

고령층의 상생페이백 참여율이 낮은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온라인 신청 절차와 디지털 온누리 앱 설치 의무가 꼽힙니다. 온라인 접수 시 요구되는 다양한 인증 절차는 디지털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노년층에게는 큰 진입 장벽으로 작용합니다. 전통시장상인회와 소상공인지원센터 등에서 오프라인 신청을 돕고 있지만, 기기 조작에 어려움을 느끼는 어르신들에게는 여전히 쉽지 않은 과제입니다.

 

 

 

 

상담 및 민원 분석: 불편함을 말하다

지난달 26일 기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 접수된 상생페이백 관련 상담 및 민원은 총 77만 건이 넘었습니다. 가장 많은 문의는 ‘신청 방법’에 대한 것이었고, 그 뒤를 이어 환급 수단인 ‘디지털 온누리 앱’ 관련 문의가 많았습니다. 이는 고령층뿐만 아니라,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모든 신청자들이 겪는 어려움을 시사합니다.

 

 

 

 

더 나은 내일을 위한 제언

상생페이백 사업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서는 디지털 소외 계층에 대한 배려가 필수적입니다. 더 쉽고 직관적인 신청 절차, 오프라인 지원 강화, 그리고 디지털 활용 교육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모든 국민이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절실합니다.

 

 

 

 

핵심만 콕!

상생페이백은 높은 신청률을 기록했지만, 디지털 소외 계층의 참여 저조는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복잡한 절차와 디지털 환경에 대한 어려움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며,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상생페이백, 어떻게 신청하나요?

A.상생페이백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관련 웹사이트를 참고하시거나, 가까운 주민센터 또는 전통시장상인회에 문의하시면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Q.디지털 온누리 앱 사용이 어려운데요?

A.디지털 온누리 앱 사용이 어려우시다면, 주변의 젊은 층의 도움을 받거나, 오프라인에서 상품권을 수령하는 방법을 고려해 보세요. 또한, 관련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Q.상생페이백, 혜택은 무엇인가요?

A.상생페이백은 카드 소비액 증가분의 20%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주는 사업입니다. 월별 최대 10만원까지 환급받을 수 있으며, 소비 진작과 소상공인 지원에 기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