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식 용돈 끊긴 씁쓸한 현실, '자식보다 나라'가 낫다? 고령층의 삶을 짚어보다
자녀에게 용돈 받기 어려운 현실
수원에 사는 박모(79)씨의 사례는 오늘날 고령층이 직면한 현실을 보여줍니다. 딸은 미국에, 아들은 사업 실패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며, 박씨는 자녀에게 용돈을 받지 못합니다. 남편과 사별 후 생활비를 아끼기 위해 집을 줄이고, 노인 일자리를 통해 생활비를 마련하는 박씨의 모습은 많은 고령층의 현실을 대변합니다.
사라지는 자녀 용돈, 통계로 확인하는 현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4~6월(2분기) 65세 이상 고령층 가구의 월평균 사적이전소득은 24만 2937원으로, 1년 전보다 5.5% 감소했습니다. 이는 2021년 이후 최저치이며, 2023년 30만원에 육박했던 것과 비교하면 더욱 씁쓸한 현실을 보여줍니다. 사적이전소득은 가족이나 친인척으로부터 받는 돈을 의미하며, 고령 가구의 경우 자녀로부터 받는 생활비, 의료비가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과거와 달라진 부모 부양 방식
1980년대만 해도 60세 이상 가구의 주 소득원은 자녀 용돈 등 사적이전소득으로, 전체 소득의 75.6%를 차지했습니다. 하지만, ‘노인이 된 부모의 생계는 자식이 책임진다’는 의식이 점차 옅어지면서 이 비율은 1995년 56.6%, 2003년 31.4%로 감소했습니다. 올 2분기에는 7.5%에 그치며, 청년층의 취업난, 조기 은퇴와 맞물려 자녀 세대가 부모 부양을 의무로 생각하지 않는 경향이 두드러집니다.
변화하는 사회, 정부의 역할 증대
이러한 변화에 따라 정부는 생계급여 및 의료급여 등 부양의무자 제도를 단계적으로 폐지하며, 고령층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자녀 용돈의 빈자리는 노인 스스로의 근로소득, 연금, 복지 급여, 정부 지원금(공적이전소득)으로 채워지고 있습니다. 2분기 65세 이상 가구의 소득에서 근로소득(31.0%)과 공적이전소득(35.5%)이 사적이전소득보다 훨씬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이를 방증합니다.
황혼의 노동, 고령층의 고용 증가
의학 발달로 고령에도 건강을 유지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생활비를 벌기 위해 은퇴 후에도 노동을 이어가는 ‘황혼의 노동’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8월 65세 이상 고용률은 41.1%로, 10년 전인 2015년 30.4%에서 크게 상승했습니다. 이는 고령층의 경제적 자립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자식보다 나라가 낫다'는 말의 의미
정부 지원이 늘어나면서, ‘자식보다 나라가 낫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고령층 가구를 대상으로 한 정부 지원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2024년 2분기 65세 이상 가구의 월평균 공적이전소득은 2.8% 증가했고, 올 2분기에도 4.2% 증가하며 115만 2526원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자녀 부양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한 정부의 재정 부담 증가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고령층의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적 변화
자녀에게 용돈을 받기 어려워진 고령층은 스스로의 노력과 정부 지원에 의존하며 노후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부모 부양에 대한 인식 또한 변화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고령층의 경제적 자립을 돕기 위해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고령층의 경제적 어려움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A.자녀의 경제적 어려움, 자녀에게 용돈을 받기 어려워진 사회적 변화, 고령층의 근로 소득 감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Q.정부의 고령층 지원 정책은 무엇이 있나요?
A.기초연금, 노령연금, 공공일자리 제공, 의료급여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고령층의 경제적 자립을 돕고 있습니다.
Q.앞으로 고령층의 삶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A.고령층의 경제적 자립을 위한 정부 지원 확대, 생산적인 민간 고령 일자리 발굴, 고령층의 건강 유지를 위한 의료 서비스 강화 등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