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전산 마비, 국민 불편 초래…정부 서비스 정상화, 2주 안에 가능할까?
정부 전산 시스템 마비, 그 시작
지난 26일,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이번 화재로 인해 중앙부처의 홈페이지 관리 시스템과 공무원들의 행정 업무망인 온나라시스템 등 핵심 정보 시스템이 불에 타 기능을 상실했습니다. 이로 인해 국민들은 정부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큰 불편을 겪게 되었고, 정상적인 서비스 재개 시점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화재 피해 규모와 복구 계획
화재는 국정자원 5층 7-1 전산실에서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96개 시스템이 전소되었습니다. 정부는 대구센터 내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서비스로 이전을 준비하며, 전소된 시스템의 재가동에 약 2주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민신문고, 국가법령정보센터, 온나라시스템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시스템들이 피해를 입어, 신속한 복구가 절실한 상황입니다.
국민 불편 초래, 민원 서비스 차질 불가피
이번 화재로 인해, 일선 구청과 읍면동 주민센터 등 민원 현장에서의 서비스 차질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특히, 내주에는 정상적인 민원 서비스 제공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정부는 551개 시스템에 대한 순차 재가동을 통해 정상적인 서비스 가능 여부를 점검할 계획입니다. 모바일신분증의 경우, 광주센터의 재해복구(DR) 시스템 체계 전환을 통해 신규 발급·재발급을 제외한 모든 기능이 정상화되었습니다.
온라인 서비스 및 시스템 현황
정부 온라인 민원 서비스인 '정부24', 현장 공무원들이 행정전산망인 '새올'에 접속하기 위해 신원을 인증받는 GPKI(행정전자서명인증서) 시스템 등은 화재에 직접적인 피해를 입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화재 발생 이후 다른 구역의 정보시스템 보호를 위해 가동이 중단되었으며, 현재는 통신·보안 장비 복구 후 순차적으로 재가동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대통령실 홈페이지는 이번 화재와 무관하게 정상 가동되고 있습니다.
복구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온나라시스템은 현재 일부 기능만 작동하며, 일상 업무에 사용되는 기능은 아직 작동되지 않는 상황입니다. 행정안전부 등 중앙부처 홈페이지 관리 시스템 대부분도 피해를 입어, 정상화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상황은 공무원들의 업무 처리 지연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국민들의 불편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향후 전망 및 과제
정부의 신속한 복구 노력에도 불구하고, 2주라는 시간 동안 국민들은 불편을 감수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사태를 통해 정부는 전산 시스템의 안전 관리 및 재해 복구 시스템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닫고, 더욱 강화된 대비 태세를 갖춰야 할 것입니다. 또한, 국민과의 소통을 통해 상황을 투명하게 공유하고,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합니다.
핵심만 콕!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정부 전산 시스템 마비 사태는 2주간의 복구 기간을 예상하며, 국민들의 민원 서비스 이용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는 신속한 복구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시스템 안전 관리 및 재해 복구 시스템 강화라는 과제를 안게 되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정부24 서비스는 정상적으로 이용 가능한가요?
A.정부24 서비스는 화재 피해를 직접적으로 입지 않았지만, 현재는 시스템 점검 및 복구 작업으로 인해 서비스 이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Q.온나라시스템은 언제 정상화될 예정인가요?
A.온나라시스템은 아직 일부 기능만 작동하며, 2주간의 복구 기간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정확한 정상화 시점은 정부의 발표를 주시해야 합니다.
Q.이번 화재로 인해 개인 정보 유출 위험은 없나요?
A.정부 당국은 화재로 인한 개인 정보 유출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하여 개인 정보 보호에 더욱 신경 써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