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카드 해킹 과징금, SKT와 비교하니 왜 이렇게 적을까? 최대 800억 가능성도!
정보 유출, 과징금 격차의 비밀
최근 롯데카드에서 발생한 고객 정보 유출 사건을 두고, 과징금 규모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SK텔레콤의 사례와 비교하며 그 차이가 턱없이 적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는데요. 롯데카드에 부과될 과징금은 최대 50억 원에 그칠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지만, 실제로는 최대 800억 원까지 부과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는 금융당국의 제재와 별개로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른 과징금 부과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50억 원, 과징금 한도의 진실
신용정보법상 금융회사의 개인신용정보 유출에 대한 과징금은 전체 매출액의 최대 3%까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신용정보가 분실, 도난, 누출, 변조, 훼손된 경우에는 과징금 한도가 50억 원으로 제한됩니다. 롯데카드 해킹 사건처럼 개인신용정보가 유출된 경우, 이 50억 원이라는 한도가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죠. 이러한 규정 때문에 처음에는 50억 원 설이 유력하게 제기되었습니다.
개인정보보호법, 숨겨진 과징금 폭탄
하지만 롯데카드 해킹 사건은 단순한 신용정보 유출을 넘어, 주민등록번호 등 개인정보까지 포함하는 더 심각한 사안입니다. 이 때문에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른 과징금 부과가 가능하며, 이 경우 과징금 한도 없이 매출액의 3%까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카카오페이 사례를 보면, 개인정보 국외 이전 과정에서 고객 동의를 받지 않아 59억 8천만 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은 바 있습니다. 롯데카드의 지난해 매출액을 고려하면, 최대 800억 원에 달하는 과징금 부과도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NICE신용평가의 분석: 과징금 규모는?
NICE신용평가는 롯데카드에 대한 과징금 규모를 예측하며, SK텔레콤 사례를 언급했습니다. SK텔레콤은 매출액의 1% 수준인 1,348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습니다. NICE신용평가는 롯데카드의 지난해 영업수익에 1~3%의 과징금을 적용하면 270억~800억 원 수준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순이익의 20~60%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과징금 현실화, 정치권의 목소리
금융권의 해킹 사고가 잇따르면서, 과징금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현재 50억 원으로 제한된 과징금 한도는 매출 규모가 큰 금융사에게는 실질적인 제재가 되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민형배 의원은 과징금 한도 규정을 삭제하는 신용정보법 개정안을 발의하며, 제재 수단의 실효성을 높이고자 했습니다.
롯데카드 해킹, 과징금은 얼마나?
롯데카드 해킹 사건으로 인한 과징금 규모는 최대 800억 원까지 가능할 수 있습니다. 신용정보법상 50억 원 한도와는 별개로, 개인정보보호법 적용에 따라 매출액의 3%까지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정치권에서는 과징금 제재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법 개정 논의도 진행 중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Q.롯데카드 과징금, 왜 SKT보다 적을 수 있나요?
A.신용정보법상 과징금 한도가 50억 원으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개인정보보호법 적용 시, 최대 800억 원까지 부과될 수 있습니다.
Q.과징금은 어떻게 산정되나요?
A.매출액의 일정 비율로 산정되며, 개인정보 유출 규모, 관련 법규, 기업의 과실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Q.향후 과징금 관련 법규는 어떻게 바뀔 수 있나요?
A.과징금 한도 상향 등 제재 수단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법 개정 논의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