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가뭄, 시민 고통 속 '나 홀로' 물 펑펑? 강릉시청의 엇갈린 행보와 절수 대책
강릉 가뭄, 시민들의 고통
강원도 강릉 지역의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시민들이 제한 급수에 시달리며 큰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물 부족으로 인해 시민들은 물을 아끼기 위해 페트병에 소변을 보거나 요강을 구매하는 등 고통을 감내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파트에 붙은 제한 급수 안내문은 이러한 상황을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숙박업체와 같은 민간 시설도 피해를 감수하며, 시민들은 물이 나오는 시간에 맞춰 물을 모아두는 등 불편함을 겪고 있습니다.
강릉시청, 대수용가 지정 제외 및 늑장 대응
하지만, 이러한 시민들의 노력과는 대조적으로 강릉시청은 대수용가(물 다량 사용 시설) 지정에서 제외되어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강릉시청 청사의 저수조 용량은 566톤으로, 대수용가 기준인 100톤을 5배 이상 웃돌지만, 대수용가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이는 시민들이 겪는 고통과는 상반된 모습으로, 형평성 논란을 야기하고 있습니다.
늦어진 시청의 물 절약 조치
강릉시의 물 절약 조치 또한 늦어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시민들은 이미 지난달 20일부터 정수기 폐쇄, 생수 사용, 일회용품 사용 등 물 절약에 동참하고 있었지만, 시청은 이번 달 8일부터 구내식당에 비닐을 깔고 일회용품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10일부터 정수기와 커피 머신 사용을 전면 금지하고, 화장실 관련 시설도 폐쇄했습니다. 이러한 늑장 대응은 시민들의 불만을 더욱 증폭시켰습니다.
시민들의 분노와 시청의 해명
한 시민은 “시민들은 단수와 불편을 견디며 물을 아끼고 있는데 시청에서는 여전히 정수기를 쓰고 비데도 작동되는 걸 보고 황당했다”며 “시청사에선 가뭄이 남의 일처럼 보였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 강릉시 관계자는 “시청사는 민원인 방문이 많고 직원 1000명이 상주하는 공공시설이라 대수용가에서 제외했다”며 “정수기 폐쇄 등 절수 대책도 지난달 20일부터 계획했으나 민원인 불편 우려로 시행이 늦어졌다”고 해명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해명은 시민들의 공감을 얻지 못하고 있습니다.
가뭄의 장기화 전망
행정안전부는 9월 가뭄 예·경보에서 강원 영동·영서와 경북 북부 지역의 강수량이 평년보다 적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습니다. 환경부의 가뭄지도에 따르면 강릉은 10~11월에도 극심한 가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시민들의 고통이 장기화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강릉시의 더욱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함을 보여줍니다.
결론: 가뭄 속 시민들의 고통과 강릉시의 엇갈린 행보
강릉 지역의 극심한 가뭄 속에서 시민들은 제한 급수로 인한 불편을 감수하며 물 절약에 적극 동참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강릉시청은 대수용가 지정에서 제외되고 늑장 대응을 보이면서 시민들의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가뭄이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강릉시는 더욱 적극적이고 일관성 있는 절수 대책을 마련하여 시민들의 고통을 분담해야 할 것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Q.강릉시청이 대수용가에서 제외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A.강릉시 관계자는 시청이 민원인 방문이 많고 1000명의 직원이 상주하는 공공시설이기 때문에 대수용가에서 제외했다고 해명했습니다.
Q.강릉시의 물 절약 조치가 늦어진 이유는 무엇인가요?
A.강릉시는 정수기 폐쇄 등 절수 대책을 지난달 20일부터 계획했으나 민원인 불편 우려로 시행이 늦어졌다고 밝혔습니다.
Q.앞으로 강릉 지역의 가뭄 전망은 어떤가요?
A.행정안전부는 9월 가뭄 예·경보에서 강원 영동·영서와 경북 북부 지역의 강수량이 평년보다 적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으며, 환경부의 가뭄지도에 따르면 강릉은 10~11월에도 극심한 가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